나란히 시작된 생, 닿지 못한 인연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와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Georg Friedrich Händel, 1685–1759).
두 사람은 모두 1685년, 독일의 서로 다른 도시에서 태어났습니다. 바흐는 아이제나흐에서, 헨델은 할레에서 태어나 비슷한 시기의 교육과 대위법 전통을 공유했지만, 생애의 방향은 전혀 다르게 흘러갑니다.
바흐는 독일 내에서만 활동하며 교육자이자 교회음악가로 살았고, 헨델은 유럽을 거쳐 영국에 정착하며 무대 중심의 작곡가가 됩니다. 바흐는 헨델을 직접 만나기 위해 움직이기도 했지만 끝내 뜻을 이루지 못했고, 둘은 음악으로만 서로를 바라보며 생을 마감하게 됩니다.
신을 향한 음악, 사람을 향한 음악
두 사람 모두 루터교 전통과 오르간 중심의 훈련을 받았지만, 음악을 향한 태도는 분명히 달랐습니다. 바흐는 신앙과 교육의 맥락 안에서 음악을 구성했고, 음악은 설교와 신학적 사유의 연장이었습니다. 라이프치히 시절에 남긴 칸타타와 수난곡, 교육용 작품들은 질서와 구조, 내면적 고백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반면 헨델은 감정과 극적 흐름에 더 가까웠습니다. 이탈리아 오페라 양식을 기반으로 오라토리오와 무대 작품을 완성하며, 음악을 통해 이야기를 전달하고 청중을 움직이는 데 집중했습니다. 작곡의 ‘목적’부터가 다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감정과 구조, 음악이 향한 두 개의 어법
바흐는 구조적인 완결성을 추구했습니다. 《푸가의 기법》이나 《음악의 헌정》 같은 후기 작품은 작곡가로서의 숙고와 집요함이 그대로 드러나는 예입니다. 《마태 수난곡》에서는 복음서 텍스트와 대위법이 신학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감정보다는 구조와 상징이 전면에 나섭니다.
헨델은 청중과의 즉각적인 소통을 중요시했습니다. 《메시아》에서는 짜임보다는 흐름이 강조되고, 《리날도》, 《유다스 마카베우스》 같은 작품에서는 무대 효과와 서사적 감정이 전면에 나섭니다. 바흐의 음악이 내면을 향한다면, 헨델의 음악은 청중 쪽으로 열려 있습니다.
🎧 감상 추천 – 바흐
🎻 Bach – St Matthew Passion, BWV 244 (2021 Raphaël Pichon) (마태 수난곡)
(Raphaël Pichon 지휘, Ensemble Pygmalion 연주 / YouTube flow-and-wobble 채널 제공)
복음서 내용에 나온 예수의 수난을 잘 표현한 대곡으로, 성서 구조와 음악 형식이 긴밀히 연결되어 있습니다.
🎻 Bach - 'Brandenburg' Concerto no. 3 in G major BWV 1048 - Sato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3번)
(Netherlands Bach Society 연주 / YouTube Netherlands Bach Society 채널 제공)
바로크 시대 오케스트라의 활기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실내악과 협주곡의 경계를 넘나드는 역동적인 구성이 인상적입니다.
🎼 Bach - The Art of Fugue BWV 1080 - Sato (푸가의 기법)
( (Netherlands Bach Society 연주 / YouTube Netherlands Bach Society 채널 제공)
바흐의 마지막 작품 중 하나로, 단 하나의 주제를 다양한 대위법으로 전개하며 구조적 완결성의 극치를 보여주는 곡입니다.
🎧 감상 추천 – 헨델
🎤 Handel – Messiah HWV 56 (Live from the Sydney Opera House) (메시아)
(Brett Weymark 지휘 / Sydney Philharmonia Choirs and Christmas Choir, Sydney Philharmonia Orchestra 연주 / YouTube ABC Classic 채널 제공)
예언과 탄생, 수난과 부활이라는 구약과 신약의 내용을 오라토리오 형식으로 구성한 대표적인 종교 작품입니다.
🎭 Handel – Rinaldo HWV 7〈Lascia ch’io pianga〉 (리날도, 울게 하소서)
(영화 《파리넬리》 의 장면, YouTube 투치 채널 제공)
십자군 전쟁을 배경으로 한 오페라로, 〈Lascia ch’io pianga〉는 유폐된 알미레나가 부르는 아리아입니다. 억압된 상황 속에서 자유를 호소하는 장면으로, 단순한 선율 안에 감정을 밀도 있게 담아낸 작품입니다. 이 곡은 영화 《파리넬리》에도 사용되었으며, 헨델의 작품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아리아 중 하나입니다.
🎺 Handel – Water Music Suite No 1~3 HWV 348–350 (수상음악 전곡)
(YouTube 맛있는 클래식-Delicious Classic 채널 제공)
왕의 유람 행사를 위해 작곡된 모음곡으로, 관악기 중심의 화려한 편성과 행사용 음악의 성격이 분명한 작품입니다.
두 사람의 삶과 음악, 한눈에 비교하기
항목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
출생 | 1685년, 아이제나흐 (독일) | 1685년, 할레 (독일) |
활동 중심 | 독일 내 고정 활동 | 유럽 순회 후 영국 정착 |
작곡 목적 | 신앙, 교육, 구조적 완결성 | 감정 전달, 극적 효과, 청중과의 교감 |
대표작 | 《 마태 수난곡》, 《푸가의 기법》,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
《메시아》, 《리날도》, 《수상음악》 |
음악의 특징 | 구조적, 사유적, 내향적 | 선율 중심, 극적, 외향적 |
장르 | 칸타타, 수난곡, 오르간곡, 기악 교육 작품 | 오페라, 오라토리오, 궁정음악, 축제용 작품 |
말년의 공통점 | 실명 (존 테일러에게 수술, 실패) | 실명 (같은 의사에게 수술, 실패) |
사후 평가 | 19세기 이후 ‘음악의 아버지’로 재조명 | 당대부터 국민적 작곡가로 존경받음, 웨스트민스터에 안장 표현 중심의 작풍으로 ‘음악의 어머니’로도 비유됨 |
빛을 잃은 말년, 그러나 남겨진 음악
말년의 공통점도 기묘합니다. 두 사람 모두 시력을 잃었고, 심지어 같은 안과의사에게 수술을 받았으나 모두 실패로 끝났습니다. 존 테일러는 당대 유명한 인물이었지만, 결과적으로 두 작곡가는 실명 상태로 생을 마무리하게 됩니다. 음악으로 질서를 구축하고 감정을 이끌던 이들이, 생의 마지막에서 시각을 잃고 퇴장했다는 사실은 시대의 기술과 인간의 한계가 교차하는 비극처럼 느껴집니다.
서로 다른 방식으로, 음악의 중심이 되다
헨델은 당대에 이미 국민 작곡가로 불리며 대중적 인기를 누렸고,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묻히는 예우를 받았습니다. 반면 바흐는 사후 오랜 시간 동안 잊혀졌고, 19세기 낭만주의 작곡가들에 의해 재발견됩니다. 두 사람은 전혀 다른 방식으로 음악사에 자리잡게 되지만, 모두 18세기 음악의 본질을 정의하는 인물로 남게 됩니다. 같은 해, 1685년에 태어나 다른 길을 걸었던 이들의 음악은 지금도 서로 다른 풍경을 향해 우리를 이끌고 있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음악은 어떻게 변했을까? | 시대별 화성과 조성으로 읽는 서양 음악의 흐름
음악은 어떻게 변했을까? | 시대별 화성과 조성으로 읽는 서양 음악의 흐름
우리가 듣는 음악의 구조는 단지 멜로디만이 아니라, 소리들이 어떻게 어울리는가에 따라 다채로운 인상을 줍니다. 그 중심에는 바로 ‘화성’과 ‘조성’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중세부터
sorinamu.kr
절대음감이 아니어도 괜찮아 | 작곡가에게 정말 중요한 감각은 무엇일까요?
절대음감이 아니어도 괜찮아 | 작곡가에게 정말 중요한 감각은 무엇일까요?
🎵 절대음감과 상대음감 – 작곡가에게 정말 중요한 감각은 무엇일까요?‘절대음감이 없으면 작곡하기 어려운가요?’ 음악을 처음 공부하거나, 자녀의 음악 교육을 고민하시는 분들께 종종 듣
sorinamu.kr
바흐는 왜 '음악의 아버지'인가?
🎼 음악의 역사 속에서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만큼 뚜렷한 자취를 남긴 인물은 많지 않습니다. 그는 단지 한 시대를 대표하는 작곡가가 아니라, 과거의 음악을 품고
sorinamu.kr
'음악의 산책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세기 조성 유지파 | 조성의 해체 이후, 그 구조를 다시 세운 7명의 작곡가 (4) | 2025.07.06 |
---|---|
쇤베르크와 스트라빈스키 | 20세기 음악이 두 갈래로 갈라지다 (7) | 2025.07.04 |
음악은 어떻게 변했을까? | 시대별 화성과 조성으로 읽는 서양 음악의 흐름 (5) | 2025.07.01 |
절대음감이 아니어도 괜찮아 | 작곡가에게 정말 중요한 감각은 무엇일까요? (2) | 2025.06.28 |
바흐는 왜 '음악의 아버지'인가? (2) | 2025.06.28 |
댓글